2022년에는 무슨 자격증을 준비해볼까 싶어서 이리저리 찾아보는 중인데, 재무 및 세무 회계 관련 자격증이 있어서 좀 더 알아보았다.
내년에는 정말 더 열심히 살아야 할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들기 때문에 준비를 해두어야 할 것 같다.
우선 세무사회에서 주관하는 전산세무 자격증, 전산회계 자격증, 세무회계 자격증 시험에 대해 알아보자.
2022년 전산세무 1, 2급 및 전산회계 1, 2급의 시험일정은 다음과 같다.
가장 빠른 시험은 1월에 접수가 시작되며 2월 13일에 볼 수 있다.
시험 날짜가 같아서 전산세무와 전산회계를 동시에 응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제 전산세무, 전산회계 자격증과 쌍벽(?)을 이루는, 한국 공인회계사회에서 주관하는 AT 자격 시험에 대해 알아보자.
FAT(재무회계), TAT(세무회게) 시험을 합쳐서 AT시험이라고 한다.
먼저 2022년 AT 시험 일정(FAT, TAT)을 확인해보자.
2022년에는 상반기 일정만 나와있고, 하반기는 아마 다음 주쯤에 확정될 것 같다.
2년이 넘어가는 코로나 때문인지, 하반기부터는 비대면 시험으로 전환될 모양이다.
시험 일정은 일주일 간격으로 살짝 다르다.
만약 두 가지 자격증을 한번에 따고 싶다면 전산회계/세무에서 하나, FAT/TAT에서 하나씩 골라 같은 달에 응시해도 될 것 같다.
비슷한 듯 아닌 듯, 두 시험의 주요 특징을 정리해봤다.
세무사회 | 공인회계사회 | |
재무회계 분야 | 전산회계 1, 2급 | FAT1, 2급 |
세무회계 분야 | 전산세무 1, 2급 | TAT 1, 2급 |
실기용 프로그램 | KcLep | 더존 SmartA |
재무회계 1급 - 전산회계 1급 - FAT 1급 |
이론: 회계원리(15%), 원가회계(10%), 세무회계(5%) 실기: 기초정보 등록·수정(15%), 거래자료 입력(30%), 부가가치세(15%), 입력자료 및 제장부 조회(10%) |
이론: 회계원리, 부가가치세 실기: 기초정보관리, 거래자료 입력, 부가가치세관리, 결산, 회계정보분석 |
재무회계 2급 - 전산회계 2급 - FAT 2급 |
이론: 회계원리(30%) 실기: 기초정보 등록·수정(20%), 거래자료 입력(40%), 입력자료 및 제장부 조회(10%) |
이론: 회계원리 실기: 기초정보관리, 일반거래 입력, 전표수정, 결산, 회계정보 분석 |
세무회계 1급 - 전산세무 1급 - TAT 1급 |
이론: 재무회계(10%), 원가회계(10%), 세무회계(10%) 실기: 재무회계 및 원가회계(15%), 부가가치세(15%), 원천제세(10%), 법인세무조정(30%) |
이론: 재무회계, 부가가치세, 소득세(원천징수), 법인세 실기: 거래자료 입력, 부가가치세관리, 결산, 원천징수, 법인조정 |
세무회계 1급 - 전산세무 1급 - TAT 1급 |
이론: 재무회계(10%), 원가회계(10%), 세무회계(10%) 실기: 재무회계 및 원가회계(35%), 부가가치세(20%), 원천제세(15%) |
이론: 재무회계, 부가가치세, 소득세(근로소득원천징수) 실기: 거래자료 입력, 부가가치세 관리, 결산, 원천징수 |
배점 (이론 : 실기) | 30% : 70% | 30% : 70% |
시험시간 |
두 주관사의 자격증을 비교해 봤을 때 과목 이름만 다를 뿐, 전산회계 자격과 FAT 자격, 전산세무 자격과 TAT 자격 간의 차이는 거의 없어 보인다. 가장 큰 차이는 실기용 프로그램이고, 세무사회에 소속된 사업장(예컨대, 세무사 사무소 등)에 취업을 목표로 한다면 세무사회에서 주관하는 전산세무 자격증을 따는 게 아주 아주 약간의 플러스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잠시 스친다. 하지만, 세무회계 사무소에서 더존 프로그램을 많이 쓴다면 TAT를 따는 것도 좋을 선택일 듯하다.
일반 회사가 목표라면 전산회계나 FAT 자격증이 나을 것이지만, 세무쪽 자격증을 따도 관계 없을 것 같다.
어쨌든 재무 금융 관련 대표 자격증인 공인회계사와 세무사 시험을 주관하는 두 협회에서 만든 거니까 무엇을 따든 괜찮겠다는 생각이다.
말이 길어졌는데, 그냥 본인이 하고 싶은 거 하면 된다.
2022년 세무회계 1, 2, 3급 자격시험 일정도 같이 있어서 가져와봤다.
세무회계는 어떤 시험일까?
일단 실기 시험은 없고 세법 1부와 세법 2부라 이름된 시험과목당 객관식 25문항, 총 50문항이다.
오... 객관식 문항?????
그럼 세부과목을 알아보자.
세법 1부: 법인세법, 부가가치세법...
...
......
음......
그만 알아보자...
'이런저런 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배움카드 HRD Net에서 동시 복수 교차 수강하고 싶을 때 (0) | 2021.12.23 |
---|---|
2022 행정사 시험 일정(접수 및 발표 포함) (0) | 2021.12.22 |
방송통신대학교 졸업학점이 모자라면 (2022년부터 적용) (0) | 2021.12.13 |
방송통신대 기말시험 준비(시험일정 및 기출문제) (0) | 2021.05.31 |
방송통신대 출석수업 못갈때 해결 방법 (0) | 2021.03.02 |
댓글